-
1주택자 갈아타기 전략 활용방안부동산 재테크 2022. 3. 27. 11:07반응형
1주택자 갈아타기 전략 활용방안
오늘은 최근 유료강의를 통해 알게된 1주택자 갈아타기 전략에대해 안내하려고한다
2022년 수도권 아파트값 전망을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상승할 것으로 점치고있는 상황에서
매수자와 매도자의 싸움이며 누군가는 초조할것이다
일시적 2주택의 배경에 대해 먼저 알아보면 20평대 사는사람은 30평대 살고싶고 수도권 외곽에 사는 사람은 중심부로 옮겨가고 싶어 합니다. 갈아타기할때 잠깐이지만 일시적으로 2주택자가 되게 되는 겁니다
이렇게 갈아타기 하려는 사람들에게 일시적 2주택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내집을 판뒤 빈집을 매수해야하는데 그걸 맞추기란 쉽지않다고 봅니다.
그렇기에 나라에서도 허용해주는거고 규제 또한 중과되지 않는 혜택을 받게되는겁니다
<취득세 중과 배제 요건>
종전주택 신규주택 일시적2주택 기간 조정지역 조정지역 1년이내 처분 비조정지역 조정지역 3년이내 처분 조정지역 비조정지역 취득세 중과 대상 아님 비조정지역 비조정지역 <보유 기간은 잔금일과 소유권이전등기 접수일 빠른날 기준>
종전주택 신규주택 일시적 2주택 기간 조정지역 조정지역 2018.9.13 이전 취득 3년 내 매도 2018.9.14-2019.12.16 취득 2년 내 매도 비조정지역 조정지역 2019.12.17 이후 취득 1년 내 매도 & 1년 내 전입 조정지역 비조정지역 3년 내 매도 비조정지역 비조정지역 요즘 분위기를 보면 매도자는 초조하지 않고 오히려 집값이 올라가니 매수자가 초조한것이 사실이다
시세를 보면 띄엄띄엄 호가 위주로만 시장에 형성이 되어있다
공급이 될수있는것은 현재 3기신도시 인데 아무리빨라야 3년정도 뒤에 입주를 할수있기에 2024년 쯤이면 서울 외곽에서부터 거품이 좀 빠지지 않을까 예상해본다
3기신도시가 아무래도 외곽인 만큼 외곽지역은 추후 집값의 영향을 받겠으나 서울 내부에 있는 아파트의 경우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1주택자 전략을 살펴보면 상승장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팔고 무주택자가 되는 것은 최악의 선택일것이고
1주택자 상급지로 갈아타기전략이 보편적일텐데 2년뒤 또는 4년뒤에 들어갈것을 미리 사두는전략이다. 전세끼를끼고 갭투자하여 본인은 월세나 전세집에 살면서 인플레이션을 방어하는 것이다
대신 저축금액이 줄어들면서 현실적으로 삶이 팍팍해져 못견뎌 할수있으나
길게보면 1년에 1억가량 오를수있는 확신이이 있다고 하면 주저하지 않고 매수하겠지만 당장 와닿지않는 사이버머니?의 성격이 강해 성향이 강하기 떄문에 버티거나 받아들이기 쉽지않은 결정이라고 볼수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enesispark/taxnote/contents/220105190059817jp
1주택자가 알아야 할 절세법 (비과세 보다 더 좋은 건 바로 이 방법입니다)
2022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 한 해 부동산은 어떻게 될지 관심들이 많으신데요, 상반기에만 하더라도 두 건의 선거가 있기에 부동산 정책이 어떻게 변할지, 아니면 그대로일지에 대한 관심들이
contents.premium.naver.com
다주택자의 경우는 버티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제 양도세율이 조정된다고하면 올해 시장이 어떻게 바뀔지 .. 기다려봐야겠다지식산업빌딩 생숙 도시형생활주택 등등 일반 무주택,1주택자보다 많은 분야에 투자하고 많은 공부가 필요한 구간이니 자산가의 반열에 이르고싶다면 세금 공부는 필수
일단 수도권 아파트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있어 가장 중요수치의 경우 미분양 수치임을 잊지말고
관련 사이트 정보(아실, 부동산지인, 호갱노노 등)를 매일 체크해볼 필요가있다
'부동산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차 3법에 따른 전월세 시장의 변화 (0) 2022.03.28 부동산 하락기 시장에서 조심해야 할 아파트 (0) 2022.03.27 대선이후 부동산시장과 재건축이슈 (0) 2022.03.17 대선 종료. 부동산시장의 방향은? (0) 2022.03.13 임대차 3법의 요약 및 알아보기 (0) 2022.03.10